홈 전체뉴스 출전학교 대진표 경기규정
황금사자기 투수들이 가장 본받고 싶은 선수, 류현진-오승환 아닌…
입력 2015-06-24 16:50:00


“어떤 선수처럼 되고 싶나요.” “류현진 선배님(LA 다저스) 같은 투수가 되고 싶습니다.”

지난해까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왼손 투수들 가운데 열에 여덟은 류현진을 롤 모델로 꼽았다. 오른손 투수에게 인기 있는 선수는 오승환(한신)이었고, 사이드암 투수들은 임창용(삼성)을 택했다.

그런데 올해는 다르다. 본받고 싶은 선수로 가장 많이 입에 오르내리는 선수는 뜻밖에 두산의 왼손 투수 유희관(29)이다.

지난해까지 인기 있던 투수들과 유희관은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공의 스피드다. 유희관을 제외한 투수들은 모두 150km가 넘는 빠른 공을 던진다. 반면 유희관의 최근 8경기 직구 평균 구속은 128km다. 가장 빠른 공도 130km대 중반이다.

많은 사람들이 재능보다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야구에서 사실 중요한 건 재능이다. 150km란 공은 극소수의 선택받은 선수들만 던질 수 있다. 노력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한마디로 타고나야 한다.

유희관이라고 빠른 공을 던지고 싶지 않았던 건 아니다. 어린 시절 그도 느린 스피드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하지만 아무리 용을 쓰고 던져도 140km를 넘기지 못했다.

스피드가 나오지 않다 보니 손해도 많이 봤다. 장충고를 졸업한 그는 프로의 지명을 받지 못했다. 중앙대를 졸업한 뒤 2차 6번으로 겨우 두산 유니폼을 입었지만 그의 성공을 점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유희관 스스로도 “선발은 언감생심이었다. 원 포인트 릴리프로 1군 무대에 서는 게 꿈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올해 유희관은 한국 프로야구에서 가장 뜨거운 선수다. 벌써 10승(2패)을 거둬 다승 공동 선두다. 평균자책점(2.85)은 2위다. 3년 연속 10승 고지에 올랐다. 공은 느릴지 몰라도 제구와 변화구, 그리고 자신감은 국내 최정상급이다.

선택받은 선수보다 평범한 선수가 훨씬 많은 고교야구에 유희관은 꿈과 희망을 던져줬다. 예전 같으면 130km가 안되는 직구를 던지는 고교 선수들은 일찌감치 야구를 포기해야 했다. 노력할 기회도 없이 부족한 재능을 탓해야 했다.

하지만 이젠 상황이 달라졌다. 느린공으로도 얼마든지 프로에 갈 수 있고, 한 발 더 나아가 A급 선발이 될 수 있다는 걸 유희관이 온몸으로 보여줬다.

소래고 왼손 투수 임지유도 유희관을 따라하고 싶어 하는 투수다. 22일 장안고와의 경기에서 그는 최고 132km의 직구를 던졌다. 하지만 그는 어엿이 프로를 꿈꾸고 있다. 그날 1과3분의1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된 그는 “유희관 선배님처럼 나도 공은 빠르지 않지만 자신감 있게 던지려 한다. 스피드에 신경 쓰기보다 제구와 변화구 구사에 더 공을 들이고 있다”고 했다. 금광옥 동산고 감독은 “유희관의 성공 후 많은 고교 선수들이 큰 힘을 얻었다”고 했다.

유희관은 “설혹 바로 프로에 지명을 못 받는다 해도 야구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나도 대학과 상무를 거쳐서야 진짜 프로 선수가 됐다. 단점을 보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정말 잘할 수 있는 걸 키우는 게 더 좋을 때도 있다. 평범한 선수들의 롤 모델이 됐다는 데 자부심을 느끼는 동시에 더 잘해야겠다는 책임감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유희관처럼 야구에 대한 편견을 바꾼 대표적인 선수에는 NC 유격수 손시헌(35)도 있다. 작은 키 때문에 스카우트들의 외면을 받았던 그가 신고 선수로 입단한 두산에서 주전 유격수로 성공가도를 달리자 스카우트들은 선수 보는 눈을 바꿨다. 정근우(한화)와 김선빈(전 KIA) 등은 단신 선수에 대한 편견이 깨진 후 입단해 큰 성공을 거뒀다. 지금도 많은 고교 내야수들은 손시헌을 우상으로 꼽는다.

야구는 공이 느려도, 키가 작아도 자신의 장점을 잘 살리면 성공할 수 있는 스포츠다. 유희관과 손시헌은 가장 먼저 껍데기를 깬 선구자들이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한국의 오타니” 김성준, 미국행 앞둔 마지막 황금사자기[… 2025.05.13
17:08:00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6강전이 열린 5월 13일 목동야구장. 이날 그라운드에서 가장 많은 셔터를 받은 선수는 단연 김성준(18·광주제일고)이었…

“2019년 사진 보며 매일 우승 다짐해요” 4번타자 신재… 2025.05.13
16:33:56

“숙소에 2019년 우승 사진이 붙어있다. 이걸 매일 보며 ‘우리도 할 수 있다’고 다짐한다.”홍석무 감독이 이끄는 유신고가 13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청주고와 …

‘2경기 연속포’ 경북고 8강 이끈 리드오프 이승빈 “홈런… 2025.05.13
15:14:39

경북고 이승빈(19)이 2경기 연속 홈런을 쏘아 올리며 팀의 8강 진출에 앞장섰다.이승빈은 13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광주제일고와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

1점 뒤진 9회초 공격 경남고, 홈에서 ‘8강행 태그아웃’ 2025.05.13
03:00:00

5-6으로 뒤진 9회초 마지막 공격.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선 경남고 2번 타자 박보승(17)은 물금고 투수 남해담(18)의 초구를 받아 쳐 우익…

[황금사자기 스타] 6이닝 1피안타 짠물 피칭으로 라이벌 … 2025.05.12
13:43:00

2-0으로 앞선 4회말. 상대 선두타자에게 중전안타로 출루를 허용하자 방진호 세광고 감독은 주저 없이 3학년 투수 김태언(19)을 마운드에 올렸다. 경기 초반에…

7점차 뒤집고… 충암고, 연장승부끝에 16강행 2025.05.12
03:00:00

충암고가 경기 초반 7점 차 열세를 뒤집고 황금사자기 16강에 진출했다. 충암고는 11일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황금사자기 스타] 105구 투구로 충암고 역전승 이끈 1… 2025.05.11
18:40:00

10회말 2사 만루. 볼카운트는 2볼 1스트라이크. 충암고 1학년 왼손투수 조성준(16)은 자신의 105번째 공을 던졌다. 투구 수 규정상 이날 조성준이 던질 …

16강 진출 이끈 6.2이닝 구원승…충암고 ‘1학년 에이스… 2025.05.11
17:16:37

“이제 1학년인데, 좋은 선수죠.”충암고는 11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스포츠동아·대한야구소프트…

美언론 “광주일고 김성준, 텍사스와 18억 계약 합의” 2025.05.10
01:40:00

올해 고교야구 최고 유망주로 꼽히는 광주제일고의 투타 겸업 선수 김성준(18·사진)이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텍사스와 계약에 합의했다는 미국 현지 보도…

광주제일고 김성준 투타 맹활약… ‘디펜딩 챔프’ 덕수고 짐… 2025.05.09
03:00:00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2회전 경기가 열린 8일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에는 3일 대회 개막 후 가장 많은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

[황금사자기 스타]덕수고 상대 콜드게임 승리 이끈 광주제일… 2025.05.08
17:09:00

8일 서울 목동구장 덕수고와 광주제일고의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2회전. 이날 경기는 ‘고교 야구 명문’ 팀 간의 대결이자 광…

해외 스카우트 이목 끈 광주제일고 투타 겸업 선수 김성준 … 2025.05.08
16:16:47

“제 롤모델은 오타니 쇼헤이입니다.”광주제일고는 8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스포츠동아·대한야구소…

“우린 대부분 1·2학년, 지켜봐주세요” 뒷심 발휘한 저력… 2025.05.08
15:41:59

“우리 선수들을 믿었습니다.”청주고는 8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스포츠동아·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황금사자기 갈증’ 대구고, 제물포고 추격 뿌리치고 2회전… 2025.05.08
03:00:00

1976년 창단한 대구고 야구부는 고교야구 최고 권위의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우승만 세 차례 했다. 손경호 대구고 감독(59)은 그 세 번의 준우승을…

[황금사자기 스타]역전승의 불씨 살린 경기고 2루수 윤연우 2025.05.07
17:08:00

5회까지 사사구 없이 피안타 단 1개. 상대 팀 동산고의 선발 투수 이성민(17)은 좀처럼 흔들림이 없었다. 주말리그 전반기 서울권B에서 우승하며 0.297의 …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
덕수고 박준순 MVP… 0.63…
덕수고 3학년 내야수 박준순(18)의 활약은…
황사기 4회 등 ‘4대 메이저’…
“우승하면 그날 딱 하루만 좋아요. 지금도 …
‘압도적 전력’ 덕수고, 대구상…
덕수고가 대구상원고를 제압하고 7년 만에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