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전체뉴스 출전학교 대진표 경기규정
[황금사자기]35년 만의 리턴매치… 광주일고 또 포효했다
입력 2018-06-01 03:00:00

광주일고 선수들이 31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서 정상에 오른 뒤 우승 트로피를 높이 치켜들고 환호하고 있다. 광주일고는 2010년 황금사자기 우승 이후 8년 만에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황금사자’는 광주일고 품에 안겼다.

광주일고는 31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결승전에서 대구고에 10-2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 제37회 황금사자기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통산 여섯 번째, 2010년 다섯 번째 우승 이후 8년 만이다.

경기 전 양 팀의 운명은 공교롭게도 2학년들의 어깨에 지워졌다. 양 팀의 3학년 1선발 조준혁(광주일고), 김주섭(대구고)이 4강전서 각각 103개, 81개의 공을 던져 등판할 수 없었기 때문. 투구 수 제한 규정으로 공 76개 이상을 던지면 4일을 휴식해야 마운드에 오를 수 있다. 광주일고는 빠른 공이 강점인 정해영을, 대구고는 제구력이 좋은 이승민(이상 2학년)을 각각 마운드에 올렸다.


광주일고는 초반부터 대구고를 밀어붙였다. 1회말 1번 타자 유장혁(3학년)의 안타를 시작으로 5타자 연속 안타를 때리며 3점을 뽑았다. 방망이를 주먹 반 개가량 짧게 쥐고 초구부터 노리는 광주일고 타선의 적극적인 승부에 이승민은 공 5개만 던지고 안타 3개를 맞아 첫 실점을 했다.

‘삼자 범퇴 이닝’이 8-0으로 승부가 기운 6회 처음 나왔을 정도로 광주일고 타선은 끈질겼다. 팀이 기록한 안타 15개 중 장타는 5회말 정도웅이 친 2루타 1개에 불과했지만 타선의 응집력을 앞세워 ‘기회=득점’으로 연결했다. 앞선 5경기(43이닝)서 9점(평균자책점 1.88)만 내주는 등 이번 황금사자기 대회서 가장 ‘짠맛’을 선보인 대구고 마운드였지만 결승에서는 이승민이 2와 3분의 1이닝 8피안타 6실점하는 등 10점을 내주며 짠맛이 희석됐다.

마운드에선 정해영이 대구고 타선을 잠재웠다. 시속 140km대 중반의 빠른 직구를 앞세운 정해영은 1회초 대구고 2번 타자 옥준우(3학년)를 상대로 삼구삼진을 잡는 등 6과 3분의 2이닝 6삼진 2실점(투구 수 103개)으로 호투했다. 최우수선수(MVP) 타이틀은 경남고와의 4강전(지난달 30일)에서 7과 3분의 2이닝 2실점으로 호투해 팀을 결승으로 이끈 광주일고 조준혁에게 돌아갔다.

대구고는 기회를 번번이 살리지 못한 게 아쉬웠다. 2회초 무사 1, 2루서 타석에 선 박영완이 히트앤드런 사인을 받았지만 실패해 3루로 뛰던 2루 주자가 포수에게 견제 아웃됐다. 광주일고 유격수 김창평(3학년)의 실책 등으로 3회초 2사 1, 3루, 4회초 2사 만루 기회를 맞았으나 전광판에 찍힌 숫자 ‘0’은 끝내 바뀌지 않았다. 정해영이 7회 2사 1, 2루서 마운드를 내려간 뒤에야 2점을 만회했다. 1983년 황금사자기 결승전서 광주일고에 2-3으로 석패한 대구고는 35년 만에 맞이한 리턴매치에서 다시 패하며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김배중 wanted@donga.com·임보미·조응형 기자
 
광주일고 교가 (이은상 작사·이홍렬 작곡)

무등산 아침해같이 눈부신 우리의 이상 / 극락평 강물과 함께 줄기찬 우리의 전통 / 보아라 높이 올린 정의의 등대 / 들어라 울려나는 학문의 성종 / 민족의 혼이 깃든 영원한 이 집 /새 역사의 주인공들 자라나는 곳 / 열렸다 희망의 앞길 큰 포부 가슴에 찼다 / 일고는 이 나라의 힘 일고는 이 땅의 자랑
 

[오늘의 황금사자기/5월 17일]제물포고 外 2018.05.17
03:00:00

제물포고(1루) 12시 30분 울산공고(3루) 광주동성고(1루) 15시 30분 북일고(3루) 안산공고(1루) 18시…

주말리그의 별들 “전국구 ‘왕별’도 내 차지” 2018.05.17
03:00:00

16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시작될 예정이던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은 우천으로 전 경기가 순연됐다. 이에 따라 16강전까지 잡혀 …

‘좌희섭’VS‘우치용’이 수놓았던 황금사자기 2018.05.16
05:30:00

황금사자기는 1947년 제1회 대회가 개최됐다. 한국야구 역사상 단일 언론사가 주최하는 대회 중 가장 긴 역사와 최고의 권위를 자랑한다. 그동안 수많은 야구스타…

전경기 야구협회 홈피-유튜브 생중계… 주요경기 IB스포츠 … 2018.05.16
03:00:00

16일부터 28일까지 열리는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은 전 경기를 실시간 영상으로 즐길 수 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는 협…

“아버지, 우월한 ‘야구 유전자’ 감사합니다” 2018.05.16
03:00:00

지난달 21일 고교야구 주말리그 광주동성고-광주일고 경기. 동성고 에이스…

16일 개막, 황금사자기를 품을 고교 최강은? 2018.05.15
05:30:00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이 16일부터 28일까지 목동구장에서 개최된다. 황금사자기에서 2년 연속 우승한 덕수고의 대회 3연패가…

우승후보 두 팀이 1회전서… 북일-광주동성 “왜 너희냐” 2018.05.15
03:00:00

“결승전에서 붙어도 될 만한 팀들이 1회전부터 만났네요.” 16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막을 올리는 제72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대…

‘황금사자’는 알아봤다, KBO의 미래… 고교때부터 소문난… 2018.05.14
03:00:00

4일 잠실구장에서는 이색 마운드 맞대결이 펼쳐졌다. 프로야구 LG 선발투수는 김대현(21)이었다. 두산은 선발 유희관의 조기 강판 이후 3회부터 이영하(21)가…

150km 사이드암… 150km 1학년… “당장 프로 주전… 2018.05.11
03:00:00

올해로 72회를 맞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의 개막(16일 서울 목동구장)이 5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 시즌 첫 전국대회인 만큼 10개…

[베이스볼 피플] ‘무명선수’가 ‘우승 청부사’ 되기까지,… 2017.05.17
05:30:00

그야말로 ‘덕수고의 시대’다. 전반기 왕중왕을 가린 제71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덕수고의 우승으로 막을 내리며 덕수고는 대회 2연패와 함께 최근 5년 …

‘풀뿌리 야구’ 돌봐온 NC, 커가는 열매 2017.05.17
03:00:00

또다시 마지막 문턱을 넘지 못했다. 2년 연속 정상 바로 앞에서 멈춰야 했다. 마산용마고는 15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1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양창섭, 145km 강속구 무기로 5경기 전승 2017.05.16
03:00:00

시속 145km에 달하는 위력적인 빠른 공은 1년 전 그대로였다. 결정구로 커브를 던져 삼진을 잡는 노련함까지 더했다. 덕수고 에이스 양창섭(3학년·사진)…

정윤진 감독 “공공의 적 부담 컸는데… 선수들에 감사” 2017.05.16
03:00:00

3년 만에 황금사자기 우승트로피를 되찾았던 지난해. 덕수고 정윤진 감독(사진)은 한 번도 아닌 “두 번 더”를 외쳤다. 12일 대구상원고와의 8강전 승리(4-0…

결승 리턴매치… 덕수고, 2년연속 정상 포효 2017.05.16
03:00:00

고교야구 전국 최강은 덕수고였다. 덕수고는 15일 목동야구장에서 벌어진 제71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소…

덕수고 황금사자기 야구 2연패 ‘환호’ 2017.05.16
03:00:00

덕수고 투수 양창섭(오른쪽)과 포수 윤영수가 15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에서 마산용마고를 꺾고 2연패를 달성한 뒤 기뻐하고 …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
덕수고 박준순 MVP… 0.63…
덕수고 3학년 내야수 박준순(18)의 활약은…
황사기 4회 등 ‘4대 메이저’…
“우승하면 그날 딱 하루만 좋아요. 지금도 …
‘압도적 전력’ 덕수고, 대구상…
덕수고가 대구상원고를 제압하고 7년 만에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