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전체뉴스 출전학교 대진표 경기규정
‘투타 완벽’ 유신고, 창단 35년 만에 황금사자기 첫 우승
입력 2019-06-29 17:46:00

29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마산용마고와 유신고의 결승전. 유신고가 10:4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유신고가 창단 35년 만에 처음으로 황금사자기 우승 트로피에 입을 맞췄다.

유신고는 29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결승에서 마산용마고를 10-4로 꺾고 고교야구 최고 권위의 황금사자기를 들어올렸다.

1984년 창단 후 이 대회에서 준우승만 두 차례(1988년, 2006년) 차지했던 유신고는 이날 우승으로 길었던 한을 풀었다.

29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마산용마고와 유신고의 결승전. 유신고가 10:4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경기 전부터 유신고의 우세가 점쳐졌다. 마산용마고는 하루 전 충훈고와의 준결승에서 혈투를 벌이느라 투수진을 대거 소진했기 때문이다. 에이스 김태경을 비롯해 전날 경기를 책임진 이기용와 조제영 등이 투구 수 제한에 걸려 출전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유신고는 에이스 소형준을 비롯해 김기중, 박영현 등 든든한 투수진을 비축하고 있었다.

초반 기세를 올린 쪽은 마산용마고였다. 2회초 공격에서 볼넷과 상대 실책 등으로 만든 2사 2, 3루 찬스에서 박민준의 2타점 적시타로 두 점을 앞서갔다. 2-2 동점이던 4회초에도 박민준의 적시타와 김지훈의 희생플라이 등으로 두 점을 달아났다.

29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마산용마고와 유신고의 결승전. 유신고가 10:4로 승리. 마무리 투수 소형준이 마지막 타자를 잡으며 포수 강현우와 기쁨의 순간을 만끽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하지만 유신고에는 올해 고교 넘버 원 투수로 평가받는 소형준이 있었다. 2-4로 뒤진 4회초 유신의 4번째 투수로 등판한 소형준은 경기를 마무리 지을 때까지 5와 3분의1이닝 2안타 무실점으로 상대 타선을 꽁꽁 묶었다. 최구 144km의 직구와 변화무쌍한 투심 패스트볼 등을 앞세워 사사구는 한 개도 내주지 않았고 삼진은 5개를 잡았다.

소형준이 마운드를 굳게 지키는 사이 타선도 힘을 냈다. 2-4로 뒤진 5회말 윤재연의 적시타로 한 점을 따라붙은데 이어 2사 2, 3루에서 대타로 나선 1학년 정원영이 중견수 키를 훌쩍 넘기는 역전 2루타를 때려 경기를 뒤집었다.

29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3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마산용마고와 유신고의 결승전. 유신고가 10:4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상승세를 탄 유신고는 6회 대거 4득점하며 승기를 잡았고, 9-4로 앞선 7회에는 김주원이 승부에 쐐기를 박는 솔로 홈런을 터뜨렸다. 이날 승리의 주역이 된 소형준은 대회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반면 투수진 고갈에 시달린 마산용마고는 뒷심에서 밀렸다. 4이닝 2실점으로 비교적 호투한 선발 투수 권태우가 많은 투구수로 일찌감치 마운드를 내려간 뒤 인해전술로 많은 투수들을 투입했으나 유신고의 기세를 막아내긴 역부족이었다.

지난 5년간 세 차례를 포함해 모두 4번이나 이 대회에서 준우승했던 마산용마고는 또 한 번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하지만 주말리그 경상권A 5위로 이번 대회에 출전한 마산용마고는 전날 충훈고와의 4강전에서 0-7로 뒤지던 9회말 8-7로 기적 같은 역전승을 거두는 등 대회 내내 선전을 펼쳤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이원주 기자 takeoff@donga.com
[64회 황금사자기] “잠실서 뛴다니 가슴이 벅차다” 2010.03.30
07:00:00

황금사자기 고교야구 결승전이 28년 만에 잠실구장에서 개최됐다. 1982년 송진우의 세광고가 잠실에서 우승 신화를 쓴 이래 황금사자기 역대 두 번째 결승전이다.…

“아마야구 연감-기록책 만드는게 꿈” 2010.03.30
03:00:00

황금사자는 1947년 첫 대회부터 숱한 명승부를 연출했다. 그렇다면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를 탄생시킨 1972년 결승에서 군산상고 선발 투수는 몇 개의 공을 …

황금사자, 2년만에 호남선 탔다 2010.03.30
03:00:00

그라운드 위에는 패기가 넘쳤다. 관중석은 재학생과 동문들의 함성으로 가득했다. 야구 메카 잠실야구장이 고교야구 열기로 들썩거렸다. 역사적인 잠실 결승 무대에서 …

[포토] 우리가 우승했어요! 2010.03.30
00:30:58

29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 광주제일고-장충고의 경기. 우승을 차지…

[제 64회 황금사자기] 대회 최우수선수 유창식 “우승 책… 2010.03.30
00:27:31

"우승을 책임지고 싶었습니다."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된 광주일고의 에이스 …

[제 64회 황금사자기] 허세환 광주일고 감독 “선수들에게… 2010.03.30
00:25:43

“열심히 해 준 선수들이 고마울 뿐입니다.”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에서 광주일고를 정상으로 이끈 허세환…

[제 64회 황금사자기] 모두를 들뜨게 한 28년 만의 ‘… 2010.03.30
00:23:55

“설레고 흥분된다.” 이구동성이었다. 잠실야구장에서 28년 만에 열린 고교야구 결승전. 뜻깊은 무대를 밟은 선수들과 응원단 모두 상기된 표정이 역력했다.● “잠…

[제 64회 황금사자기] 광주일고, ‘잠실 결승’서 웃었다… 2010.03.29
21:27:03

29일 한국 야구의 메카 잠실야구장에서 아마야구의 축제가 펼쳐졌다. 지난 1982년 개장 이후 28년 만에 고교야구 결승전이 열린 것. 광주일고와 장충고가 제6…

[제 64회 황금사자기] 장충-광주일고 ‘잠실 결승’ 주인… 2010.03.29
19:20:20

장충고와 광주일고가 한국 야구의 심장인 서울 잠실구장에서 28년 만에 열리는 고교 야구 결승전의 주인공이 됐다. 27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 전…

[황금사자기] 장충고 vs 광주일고 “우승컵 내거야” 2010.03.29
07:00:00

사상 첫 잠실구장 우승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최고의 전통과 권위를 자랑하는 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스포츠동아·동아일보·대한야구협회 공동주최) 결승전…

[제64회 황금사자기]장충-광주일고 ‘잠실 결승’ 주인공 2010.03.29
03:00:00

장충고와 광주일고가 한국 야구의 심장인 서울 잠실구장에서 28년 만에 열리는 고교 야구 결승전의 주인공이 됐다. 27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 전…

[제 64회 황긍사자기] 광주일고, 결승행 ‘방망이쇼’… … 2010.03.28
17:22:24

광주일고와 장충고가 고교야구 첫 ‘잠실 결승’ 무대를 밟게 됐다. 27일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

[포토] 공중부양~ 2010.03.27
15:08:34

27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 전국고교야구대회 4강전 경남고-장충고의 경기. 2회초 경남고의…

[포토] 승리를 눈 앞에서 놓쳤다 2010.03.27
15:05:40

27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 전국고교야구대회 4강전 경남고-장충고의 경기. 경남고의 선발투…

[포토] 맞치고 본다! 2010.03.27
14:54:36

27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동아일보사 스포츠동아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 전국고교야구대회 4강전 경남고-장충고의 경기. 8회말 장충고의…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
덕수고 박준순 MVP… 0.63…
덕수고 3학년 내야수 박준순(18)의 활약은…
황사기 4회 등 ‘4대 메이저’…
“우승하면 그날 딱 하루만 좋아요. 지금도 …
‘압도적 전력’ 덕수고, 대구상…
덕수고가 대구상원고를 제압하고 7년 만에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