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전체뉴스 출전학교 대진표 경기규정
“고교야구 황금기 이끈 ‘황금사자’, 대형투수 재목 꽤 보여”
입력 2017-05-02 03:00:00

김응용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오른쪽)과 김인식 KBO 총재 특보가 한국 고교 야구와 프로 야구의 동반 발전을 기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두 사람은 3일 막을 올리는 제71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을 앞두고 “한국 고교 야구의 산실인 황금사자기를 통해 더 많은 유망주가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부산 촌놈들이 언제 서울 구경을 해 봤겠어. 밤새 기차 타고 와서 관중이 가득 찬 야구장에 서 있으려니 엄청 긴장했지. 글쎄, 우리 팀 선발 투수가 얼마나 떨었던지 공을 백네트에다 던져버렸다니까.”(김응용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

“수학여행 가기 전날처럼 설레었지. 비록 좋은 성적을 못 내고 일찌감치 탈락했지만 출전 자체가 영광이었어. 한국의 고교 야구는 황금사자기에서 자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김인식 KBO 총재 특보)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구 야구회관에서 만난 김응용 회장(77)과 김인식 특보(71)는 최고 권위와 전통을 자랑하는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를 이렇게 추억했다. 김 회장은 1959년 열린 제13회 황금사자기 대회 때 부산상고(현 개성고) 선수로 출전했고, 배문고를 나온 김 특보는 1963년과 1964년 제17, 18회 대회에서 2년 연속 그라운드를 밟았다.

두 사람은 한국 야구의 살아 있는 전설들이다. 김 회장은 현역 시절 한국을 대표하는 4번 타자로 활약했고. 프로 감독으로는 한국시리즈 10회 우승(해태 9번, 삼성 1번)을 이끌었다. 두산과 한화 등에서 프로 감독을 지낸 김 특보는 3차례(2006년, 2009년, 2017년)나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한국 대표팀의 지휘봉을 잡았다. 김 회장은 올해 한국 아마 야구를 이끄는 최고 행정가가 됐고, 김 특보는 WBC 이후 KBO리그 총재를 보좌하는 자리를 맡고 있다. 두 사람은 올해로 71회째를 맞는 황금사자기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 큰 기대를 표했다.

3월 열린 제4회 WBC에서 1라운드 탈락의 아픔을 맛본 김 특보는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우리 대표팀에 정말 좋은 투수가 없었다. 그런데 올해 황금사자기 대회에는 시속 145km를 넘게 던지는 재목이 여럿 있더라. 팬 여러분이 앞으로 한국 야구를 이끌어갈 이 선수들의 성장을 관심 있게 지켜봐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어린 학생들이 다치지 않고 프로에 오는 게 중요하다. 우승 몇 번 했다고 명문 학교가 되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 학교 출신이 몇 명이나 메이저리그에서 있는지, 아니면 KBO리그에서 뛰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성적을 위해 선수들을 혹사시키면 안 된다”고 말했다.

협회와 KBO는 ‘프로 아마 업무공조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아마 선수 보호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투구 수 제한과 변화구 투구 금지 등의 조치는 대책이 확정되는 대로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아마 선수들의 겨울철 경기를 막기 위해 프로 신인 드래프트 일정을 현재 8월에서 9월로 한 달 정도 미루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일정에 따라 주말리그 시작도 한 달 미뤄지면 겨울철 야구를 막을 수 있다.

이 밖에 현행 나무 배트를 알루미늄 배트로 대체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김 회장은 “미국, 일본 고교 선수들은 모두 알루미늄 배트를 쓴다. 아직 신체 발달이 제대로 안 된 어린 선수들은 나무 배트를 사용해서는 제대로 힘을 쓰기 힘들다. 경제적인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 연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에 대한 당부도 아끼지 않았다. 김 특보는 “프로야구 흉내를 내기보다 좀더 학생다운 야구를 했으면 좋겠다. 점수를 내면 모두 더그아웃 밖으로 쏟아져 나와 과도하게 괴성을 지르며 오버액션 하는 세리머니 등은 보기가 좋지 않다. 학생으로서 기본을 갖춘 야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황금사자기]‘형’ 배찬승도 못한 우승, 동생이 노린다…대… 2025.05.07
16:02:23

“학교에 반드시 첫 우승 안기고 싶다.”야구 명문고교인 대구고는 공교롭게도 황금사자기와 아직까지 인연이 없는 팀이다. 역대 결승 무대에 3번이나 올랐지만, 모두…

[황금사자기 스타]‘5.2이닝 비자책’ 승부치기까지 막았다… 2025.05.07
14:51:30

경기고 투수 이건우(18)는 7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스포츠동아·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공동주최)…

역시 공은 둥글다… 클럽팀 창원공고, 경기항공고 격파 ‘이… 2025.05.07
03:00:00

고교야구 최고 권위의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 클럽팀이 출전하기 시작한 건 2021년부터다. 올해 제79회 대회에는 역대 최다인 11개…

‘디펜딩 챔피언’ 덕수고 이지승 10K 삼진쇼 2025.05.06
03:00:00

‘디펜딩 챔피언’ 덕수고가 3학년 왼손 선발투수 이지승(18)의 6이닝 10탈삼진 쇼에 힘입어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 1회전을…

[황금사자기 스타]8회 콜드게임 승리 이끈 청주고 이태양의… 2025.05.05
16:30:00

“짧은 거 생각하지 말고 자신 있게, 크게 돌려봐라”김인철 청주고 감독이 8회초 타석에 들어서는 7번타자 이태양(17)에게 이렇게 말했다. 12-6으로 청주고가…

‘준우승만 5번’ 마산용마고, 강릉고 잡고 창단 첫 우승 … 2025.05.05
03:00:00

1936년 창단한 마산용마고 야구부는 아직 전국대회 우승이 없다. 그중에서도 국내 단일 언론사 주최 고교야구 대회로는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는 황금사자기에서는 …

“산불 아픔 의성에 황금사자 환호 안겨드릴게요” 2025.05.03
01:40:00

의성고 야구부원들은 역대 최악의 산불이 시작된 3월 22일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포항제철고와의 경기를 위해 경북 경주에 다녀온 선수들은 잿더미로 뒤덮인 숙소…

[알립니다]제79회 황금사자기 고교야구 오늘 팡파르 2025.05.03
01:40:00

올해로 79회를 맞이한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이 3일부터 17일까지 열립니다. 서울 목동야구장과 신월야구장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는 지…

황금사자 거머쥘 고교 최강자는 누구…제79회 황금사자기 전… 2025.05.02
09:00:00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동아일보사·스포츠동아·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공동주최)이 막을 올린다.올해 대회는 3일부터 17일까지 서울…

“덕수-대구고 우승 다툴 것”… ‘제2 김도영’ 김성준 주… 2025.05.02
03:00:00

서울의 야구 명문 덕수고가 제7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서 역대 최다 우승 타이 기록(8회)에 도전한다. 국내 단일 언론사 주최 고…

NC, 대만 스프링캠프 참관단 ‘다이노스 원정대’ 모집 2025.01.21
16:39:19

NC 다이노스가 대만 전지훈련에 함께할 팬들을 기다린다.‘다이노스 원정대’는 NC 응원단 랠리 다이노스와 함께 스프링캠프가 열리는 대만을 방문하는 여행 프로그램…

[수원 리포트] KT 로하스, 홈런으로 역대 119번째 5… 2024.08.18
20:01:29

KT 위즈 멜 로하스 주니어(34)가 500타점 고지를 밟았다.로하스는 18일 수원 두산 베어스전에 2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전해 팀이 3-2로 앞선 5회말 두산 …

“아이들 덕에 활기”… 온 마을이 함께 키우는 상동고 야구… 2024.06.01
01:40:00

《폐광촌 아이들의 ‘황금사자기 첫승’‘폐광촌’이라는 명사에는 보통 ‘쓸쓸하다’는 형용사가 따라온다. 하지만 야구는 서둘러 해가 지는 강원 산골 마을에 ‘반짝반짝…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수고, 7년만에 7번째 황금… 2024.05.30
03:00:00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자기까지 들어 올리며 올 시즌 전승 항해를 이어갔다. 덕수고는 29일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제78회 황금사자기…

“공이 수박만 해 보여… 김하성이 롤모델” 2024.05.30
03:00:00

덕수고 박준순(3학년·사진)은 동료들 사이에서 ‘타격 천재’로 통한다. 상대 투수가 어떤 코스에 어떤 구종을 던지든 척척 받아친다는 뜻이다. 박준순도 “작년부터…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
덕수고 박준순 MVP… 0.63…
덕수고 3학년 내야수 박준순(18)의 활약은…
황사기 4회 등 ‘4대 메이저’…
“우승하면 그날 딱 하루만 좋아요. 지금도 …
‘압도적 전력’ 덕수고, 대구상…
덕수고가 대구상원고를 제압하고 7년 만에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