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전체뉴스 출전학교 대진표 경기규정
유신고 → 김해고 → 강릉고… 3년간 ‘창단 첫 우승’ 릴레이
입력 2022-05-19 03:00:00




《제76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이 1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목동야구장과 신월야구장에서 열린다. 고교 야구 최강자를 가려온 황금사자기의 진기록과 관심사를 숫자로 풀어본다.》






1970, 80년대 고교야구는 전국을 들썩이게 하는 인기 스포츠였고, 그중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황금사자기에는 구름 관중이 몰렸다. 사진은 2학년 듀오 김건우-박노준을 앞세운 선린상고(현 선린인터넷고)와 세광고의 1980년 대회 준결승을 보기 위해 매표소 앞에 몰려든 관중. 동아일보DB


1947년 8월 21일 서울 동대문야구장에서 황금사자기 첫 대회 막이 올랐다. 공식 명칭은 제1차 전국지구대표 중등학교 쟁패전. 대회 첫 우승팀은 결승에서 경기중을 9-3으로 꺾은 경남중이었다.


지난해까지 최우수선수(MVP)를 두 차례 차지한 선수는 광주일고 박준태와 덕수고 투수 양창섭 2명이다. 박준태는 1983년 제37회 대회에서 타율 0.450으로 MVP를 차지한 데 이어 1984년에는 경남고와의 결승에서 홈런 포함 4타수 3안타로 MVP를 받았다. 양창섭은 2016년과 2017년 2년 연속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초대 우승팀 경남중(현 경남고)은 대회 사상 유일하게 3연패의 위업을 달성했다. 당시 경남중에는 ‘태양을 던지는 사나이’ 장태영(1999년 작고)이 있었다. 장태영은 3년간 무패 신화를 남겼다.


올해 황금사자기 본선 무대를 밟는 클럽팀은 △밀양베이스볼클럽 △야로고BC △여주ID베이스볼클럽 △천안CS △TK베이스볼클럽 등 5개 팀이다. 황금사자기는 지난해부터 클럽팀에도 문을 열었다. 작년에는 5개 클럽팀이 예선에 나와 2개 팀이 본선에 올랐다. 올해는 8개 팀이 예선에 출전했다.

신일고 봉중근은 투타에 걸쳐 빼어난 활약으로 모교에 1996, 1997년 대회 2연패를 안겼다(왼쪽 사진). 덕수고 투수 양창섭은 2016, 2017년 2연패와 함께 2년 연속 최우수선수(MVP)로도 뽑혔다. 동아일보DB 


황금사자기 2연패는 모두 6차례 나왔다. 덕수고가 1994, 1995년 연속 우승에 이어 2016, 2017년에 정상에 올랐다. 광주일고는 박준태가 맹활약한 1983, 1984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경동고는 1959, 1960년, 신일고는 1996, 1997년, 장충고는 2006, 2007년 각각 2연패의 주인공이 됐다.


황금사자기 최다 우승팀은 신일고다. 8차례 황금사자기를 들어 올렸다. 1976년 제30회 대회에서 박종훈 양승호 등을 앞세워 우승한 뒤 1978, 1987, 1991, 1993, 1996, 1997, 2003년에 정상에 올랐다.


1962년 16회 대회 때 우승기와 우승컵이 처음 등장했다. 대회 상징인 황금사자기는 가로 130cm, 세로 90cm인 붉은 자주색 바탕에 포효하는 사자를 금빛 실로 수놓았다. 우승컵은 순금으로 만든 공을 배트 3개가 받치고 있는 형상으로 무게가 4kg이 넘는다.


황금사자기 우승을 한 번이라도 차지한 학교는 모두 29개다. 유신고가 2019년 제73회 대회에서 팀 창단 35년 만에 첫 우승을 한 데 이어 2020년에는 2003년 창단한 김해고가 사상 첫 황금사자기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강릉고가 창단 47년 만에 처음 황금사자기를 품에 안았다.


올해 열리는 황금사자기 예선에 출전한 팀은 모두 89개다.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50여 개에 불과했던 고교 야구 팀 수는 2000년대 후반 야구 인기 상승과 더불어 크게 늘었다.





김배중 기자 wanted@donga.com
[황금사자기 스타]마산고 김시훈, 7이닝 무사사구 완봉 “… 2017.05.06
03:00:00

빠른 템포로 시원시원하게 공을 뿌리던 마산고 선발투수 김시훈(3학년·사진)이 타선 지원까지 받으며 완승의 주역이 됐다. 김시훈은 5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황금사자…

10회말 경동고, 기쁨을 뿌리다 2017.05.06
03:00:00

7년 만에 황금사자기에 진출한 서울 경동고가 이번 대회 첫 연장 승부 끝에 인천 제물포고를 물리치고 16강에 합류했다. 경동고는 5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

[오늘의 황금사자기/5월4일]송탄제일고 外 2017.05.04
03:00:00

송탄제일고(1루) 10시 동산고(3루)* 유신고(1루) 12시 30분 마산용마고(3루)* 장안고(1루) 15시 …

[황금사자기 스타]군산상고 고명성, 선제 타점+에이스 강판… 2017.05.04
03:00:00

45년 전 황금사자기 결승전에서 군산상고는 부산고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역전의 명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하지만 3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1회 황금사자기…

3년 벼른 대전고, 첫날부터 충격을 던지네 2017.05.04
03:00:00

대회 첫날부터 ‘언더도그’의 반란이 이어졌다. 3년 만에 황금사자기 무대를 밟은 대전고가 화려한 멤버를 자랑하는 서울고에 극적인 승리를 거뒀다. 포철고도 김영준…

‘128구’ 대전고 신현수, 첫 이변을 이끌다 2017.05.03
17:37:00

“예상을 뒤집어 꼭 이기고 싶었습니다. 이젠 우승을 목표로 던지겠습니다.” 대회 첫 날부터 이변이 연출됐다.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힌 서울고가 대전고에 덜미를…

71번째 황금사자의 주인은? 덕수·용마·서울 3파전! 2017.05.02
05:30:00

제71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3일 목동구장에서 개막하는 가운데 황금빛 사자상의 주인공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덕수고의 우승 모습. 스포츠…

최희섭 “1997년 결승전 봉중근 때문에 못이겨”… 오승환… 2017.05.02
03:00:00

지난해 5월 황금사자기가 한창이던 목동구장. 2층 관중석 한쪽에는 남다른 풍채의 사내 가 서 있었다. ‘빅초이’ 최희섭(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이었다. 그는…

“고교야구 황금기 이끈 ‘황금사자’, 대형투수 재목 꽤 보… 2017.05.02
03:00:00

“부산 촌놈들이 언제 서울 구경을 해 봤겠어. 밤새 기차 타고 와서 관중이…

[알립니다]고교야구, 황금사자기를 잡아라 2017.05.01
03:00:00

덕수고 우승 원동력, 정윤진 감독의 믿음 2016.05.19
05:45:00

승리 지킨 김재웅 “널 믿는다 말에 무실점” 17일 목동구장에서 열린 제70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스포츠동아·동아일보·대한야구협…

‘황금사자기 최고 좌완’ 송진우 결승 시구…“젊음은 도전” 2016.05.18
05:45:00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스포츠동아·동아일보·대한야구협회 주최)의 역대 최고 좌완투수로 선정된 송진우(50) KB…

덕수고, 황금사자기 우승 2016.05.18
05:45:00

결승전 시구…“이 대회가 미래 발판 되길”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스포츠동아·동아일보·대한야구협회 주최)의 …

MVP 양창섭 “완봉승도 자신 있었다” 2016.05.18
05:45:00

■ ‘주먹질 논란’ 루그네드 오도어 경기 도중 주먹질을 한 텍사스 내야수 루그네드 오도어(22·사진)는 17일(한국시간) MLB닷컴 등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

“슬라이더 완급 조절이 먹혔다” 2016.05.18
03:00:00

무서운 2학년이 나타났다. 주인공은 덕수고 투수 양창섭(17·사진). 양창섭은 17일 막을 내린 제70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겸 주말리그 왕중왕전에서 총…

올해 19전승 ‘적수 없는’ 덕…
이변은 없었다. ‘무적함대’ 덕수고가 황금사…
덕수고 박준순 MVP… 0.63…
덕수고 3학년 내야수 박준순(18)의 활약은…
황사기 4회 등 ‘4대 메이저’…
“우승하면 그날 딱 하루만 좋아요. 지금도 …
‘압도적 전력’ 덕수고, 대구상…
덕수고가 대구상원고를 제압하고 7년 만에 황…